![](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_admin/blogs/image/category/new_ico_5.gif)
공무원의 직무 수행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, 직무 유기나 부작위에 따른 국가배상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번 판례(대법원 2017다290538)는 공무원의 직무상 부작위가 국가배상책임 성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습니다. 본 사건은 경찰관과 보호관찰관이 성폭력 전과자의 전자장치 위치정보를 적절히 활용하지 않아 추가적인 범죄를 예방하지 못한 사안입니다. 해당 판례는 공무원의 작위의무와 국가배상책임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, 특히 공무원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의무를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.1. 판례 개요 및 사건 번호(1) 판례의 사건 번호본 판례의 사건 번호는 대법원 2017다290538이며, 국가배상청구 소송과 관련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