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2025/02/06 2

상속재산 누락과 법적 책임(대법원 2019다29853 판례 해설)

민법 제1026조 제3호는 상속인이 한정승인이나 포기를 한 후에도 일정한 행위를 하면 이를 단순승인으로 간주하는 법정단순승인 사유를 규정하고 있어요.특히, '고의로 재산목록에 기입하지 아니한 때'에 해당하면 한정승인의 효력이 사라지고 단순승인의 효과가 발생하여 상속인의 고유재산도 채권자가 집행할 수 있게 됩니다.이 사건을 보면, 피고가 상속재산목록에 적극재산을 기입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법원이 단순승인으로 간주했는데, 대법원이 법리 오해를 이유로 원심 판결을 파기했어요.이 판례를 자세히 분석해보겠습니다.1. 사건번호 및 사건개요(1) 사건번호이 사건은 대법원 2019다29853 판결로, 원심은 서울고등법원에서 2015나6250 사건으로 심리되었어요.  (2) 사건개요갑의 상속인인 을과 병에게 상속세가..

판례분석 13:11:53

스토킹 방지법과 피해자 보호 조치 : 최신 법률 분석

대법원이 최근 선고한 2022도12037 판결은 스토킹처벌법이 적용되는 범위를 더욱 명확히 한 중요한 판례입니다. 이번 판결에서는 전화벨이 울리거나 부재중 전화가 남겨지는 행위가 스토킹 범죄에 해당할 수 있는지가 핵심 쟁점이 되었습니다. 특히, 전화 행위가 단순한 시도만으로도 피해자에게 심각한 심리적 영향을 미칠 수 있는지에 대한 법적 기준을 구체적으로 제시하였습니다. 본 글에서는 해당 판결을 분석하고, 법적 해석과 사회적 영향을 이해하기 쉽게 설명하고자 합니다. 1. 사건 개요 및 원심 판결피고인은 피해자가 자신의 전화번호를 차단하자, 다른 사람의 휴대전화를 이용하여 피해자에게 여러 차례 전화를 걸었습니다. 원심에서는 피고인이 일부 전화를 단 한 번만 걸었고, 실제 통화 내용이 밝혀지지 않았다는 점을 ..

판례분석 06:00:17
반응형